프로페셔널 화학
🧪 화학 공식 모음 총정리 📚
by quierosaberlo4
2025. 3. 29.
“공식만 정리해도 절반은 먹고 들어간다!”
✅ 1. 몰(mol) 계산 공식
몰수 (mol) = 질량(g) ÷ 몰질량(g/mol) |
물질이 몇 몰인지 계산 |
Na 46g / 23 = 2mol |
질량 = 몰수 × 몰질량 |
몰수로 질량 계산 |
3mol H₂O → 3 × 18 = 54g |
몰수 = 입자 수 ÷ 아보가드로 수 |
원자나 분자 수를 몰로 환산 |
6.02×10²³개 → 1mol |
📌 아보가드로 수 = 6.022 × 10²³ (1몰에 해당하는 입자 수)
✅ 2. 기체 상태 방정식 (이상기체)
PV = nRT |
압력×부피 = 몰수×R×온도 |
조건 주어지면 몰 구하는 데 사용 |
단위 정리 |
P = atm, V = L, T = K, R = 0.0821 |
|
👉 예: 1mol 기체, T = 273K, P = 1atm → V = 22.4L
(표준상태에서 기체 1mol의 부피는 22.4L)
✅ 3. 농도 계산 공식
몰농도(M) = 용질 몰수 ÷ 용액 부피(L) |
몰/L로 표시 |
0.5mol NaCl을 1L에 녹이면 → 0.5M |
질량 퍼센트 농도 = (용질 질량 ÷ 용액 질량) × 100 |
%로 표시 |
소금 5g / 물 95g → 5 / 100 = 5% |
📌 몰농도는 실험에서, 질량 퍼센트는 생활 속 농도 표현에 자주 사용돼요!
✅ 4. 중화 반응 공식
산의 몰수 = 염기의 몰수 |
중화 조건 |
HCl 0.1mol + NaOH 0.1mol → 물 + NaCl |
MaVa = MbVb |
산농도 × 산부피 = 염기농도 × 염기부피 |
1M × 25mL = 0.5M × x → x = 50mL |
✅ 5. pH 계산 공식
pH = -log[H⁺] |
수소 이온 농도로 계산 |
[H⁺] = 1×10⁻³ → pH = 3 |
pOH = -log[OH⁻] |
수산화 이온 농도 |
[OH⁻] = 1×10⁻⁵ → pOH = 5 |
pH + pOH = 14 |
산·염기 계산 공식 |
pH 4면 pOH는 10 |
📌 산성: pH < 7 / 중성: pH = 7 / 염기성: pH > 7
✅ 6. 화학 반응식 관련 공식
계수비 = 몰수비 = 분자 수 비 = 기체 부피 비 |
반응식 계수로 모든 양 계산 |
2H₂ + O₂ → 2H₂O → H₂:O₂ = 2:1 |
몰수 → 질량/부피 변환 |
몰수 이용해 질량·부피로 환산 |
2mol CO₂ = 2×44 = 88g or 44.8L |
✅ 7. 산화·환원 반응식 계산
산화 |
전자를 잃음, 산소 얻음 |
환원 |
전자를 얻음, 산소 잃음 |
산화수 변화로 전자 수 계산 |
산화수 증가 = 산화 / 감소 = 환원 |
📌 예: Fe²⁺ → Fe³⁺ → 전자 1개 잃음 = 산화
Cl₂ → Cl⁻ → 전자 1개 얻음 = 환원
✅ 자주 나오는 단위 정리
몰질량 |
g/mol |
농도 (몰농도) |
mol/L |
압력 |
atm, Pa |
부피 |
L (리터) |
온도 |
K = ℃ + 273 |
📝 마무리 요약 노트
- 질량 → 몰 → 부피 계산은 화학 문제의 핵심 루트
- pH 계산은 로그 활용! 10⁻³이면 pH = 3
- 농도/중화 문제는 공식 암기 필수!
- 산화·환원은 전자 흐름으로 이해하자